작고 강한 기업을 위한 마케팅 제언 (III) – 로그분석 활용법 (2)
작고 강한 기업을 위한 마케팅 제언 (III) – 로그분석 활용법 (2)
작성자 : 애드소앤 대표이사 송정훈
3. 효과적인 로그 분석 활용을 위한 Tip
① 일일 모니터링 요소와 주간/월간 모니터링 요소의 구분
방문자 트래픽, 캠페인 분석 등 일일 모니터링이 필요한 지표들도 있지만, 방문자 패턴 분석, 트렌드 분석 등 일정한 데이터가 모여야 의미가 있는 데이터들이 있다.
또한, 모니터링 주기는 사이트의 성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긴박한 대응이 필요한 지표의 경우는 일일 모니터링의 범주에 넣고, 일반적인 패턴을 분석하여 시장과 고객에 대한 인사이트를 발견하는 목적의 데이터는 분석 주기를 다소 길게 주는 것이 좋다.
이러한 각각의 분석 목표에 따라 모니터링 주기를 지표 별로 확정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② 활용 목적에 따라 각각의 리포트 양식 제작
리포트는 정형화된 보고 양식으로 계속 누적될 경우, 동일한 기준으로 과거와 현재의 차이를 유의미하게 볼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따라서, 리포트는 하나의 포맷으로 일관성 있게 만들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런 일관성과는 별개로, 리포트가 하나의 정보만을 주거나, 모든 정보를 통합하는 두리뭉실한 내용으로 구성될 경우, 작성하는 사람만 고생하는 ‘리포트를 위한 리포트’가 될 수 있다.
데이터에 관한 리포트는 회사에서 하나의 경영지표로 삼을 수도 있으며, 개별 마케팅 활동에 대한 퍼포먼스 측정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각각의 분석의 목표에 맞게 개별적인 리포트 양식을 만드는 것이 좋다. 섣부르게 기존의 리포트와 통합할 경우, 오히려 최초에 생각한 분석의 목적이 희석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위에서 말한 각각의 모니터링 주기에 따라 최적화된 형태로 생산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산된 리포트는 두리뭉실하게 트래픽 동향만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고객과의 관계에서 어떤 점이 부족한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알 수 있게 해준다.
③ 트래픽/트렌드 데이터는 전 직원이 공유해야 한다.
회사 입장에서 데이터는 수치화된 경영 목표일 수 있으며, 직원 개인에게는 실적 목표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치화된 목표에 대한 긴장감을 팽팽히 유지한다는 측면에서 트래픽/트렌드에 대한 로그 분석 데이터는 회사 내에서 적극적으로 공유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고객의 행동 패턴에 대한 파악이 가능한 지표의 경우도 고객에 대한 눈높이를 맞춘다는 의미에서 함께 공유하는 것이 좋다.
④ 데이터와 함께 고객에 대한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로그 분석 데이터는 분명히 객관적 지표이지만, 그 데이터만으로 시장과 고객을 온전히 판단할 수는 없다. 특히, 고객은 상당히 많은 변수를 통해 자신의 의사를 결정하게 되기 때문에, 로그 데이터 하나만으로 고객 행동의 모티브를 확정할 수는 없다.
로그 데이터는 시장과 고객 집단의 규모를 확정하고, 이들의 행동 특성을 정량화하여 알려준다. 따라서, 마케팅이나 사이트 운영 계획을 세우는 데 아주 중요한 기초자료가 된다. 하지만, 고객의 구체적인 니즈는 데이터 이외의 부분 – 개별 고객에 대한 관찰, 고객 feed-back –을 통해 확보되는 경우가 많다.
결국, 데이터를 기본으로 하지만, 고객에 대한 관찰의 시선을 거두지 않는 것. 그럼으로써, 시장 전체와 고객 집단, 그리고, 개별 고객과의 관계의 중요 지점들을 하나씩 파악해서 발전시켜나가는 것이 필요하다.